- [종합] 씁쓸한 中 커제발(發) 역대급 반상(盤上) 대참사 뒷수습
본문
한·중, ‘LG배 기왕전’ 판정 불복 논란 봉합
이번 사태 원인엔 중국 측 책임도 적지 않아
수습 과정서 보여준 중국 측 ‘힘자랑’엔 눈살
여전히 ‘LG배 기왕전’ 판정 거부 입장 유지
커제 9단에게 준우승 상금 전달도 대략난감
[반상톡톡(6)]
지난달 23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에서 열렸던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3번기·3판2선승제) 결승 3국에서 중국의 커제(가운데) 9단이 한국기원 관계자들에게 대국 규정에 대해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바둑TV 유튜브 캡처
연초부터 격화됐던 한·중 반상(盤上) 갈등이 해빙 무드로 진입했다. 새해 첫 세계 메이저 기전 결승전에서 촉발된 사상 초유의 판정 불복 사태로 반한(反韓) 감정까지 확산, 냉각됐던 양국 바둑계는 2주 만에 가까스로 갈등이 봉합된 모양새다. 하지만 후유증도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해당 기전을 주관한 한국기원 측의 매끄러운 대회 진행에 아쉬움이 남았지만 중국 측의 감정적인 대응 도 공감대를 형성하긴 어려웠다.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섰던 중국 바둑계 간판스타 커제(28) 9단의 생방송 대국 가운데 터져 나온 도발적인 거친 언행 역시 시청자들에겐 불편하기만 했다. 지난달 20~23일 벌어졌던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우승상금 3억 원) 결승전(3번기·3판2선승제) 도중 빚어진 커제 9단과 한국 변상일 9단의 맞대결 파행 결과에서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 뒷수습 과정에서 드러난 중국 바둑계 행보는 또 다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1일 바둑계에 따르면 한·중 양국 불협화음은 이번 ‘제29회 LG배 기왕전’ 판정 불복의 원인으로 지목된 '상대방의 따낸 돌(사석) 관리 규정'을 폐지하겠단 한국기원 발표에 중국위기(圍棋)협회의 호응이 나오면서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대국 도중) 사석 관리 규정 위반과 연관, 경고 누적에 따른 반칙패를 없애고 징계 수위 등 세부사항은 추후 논의하겠다”는 한국기원 측 공표에 “규정 개정 결정을 내린 한국기원에 감사한다”는 중국협회 측 메시지가 전해지면서다.
이번 사태 원인엔 중국 측 책임도 적지 않아
수습 과정서 보여준 중국 측 ‘힘자랑’엔 눈살
여전히 ‘LG배 기왕전’ 판정 거부 입장 유지
커제 9단에게 준우승 상금 전달도 대략난감
[반상톡톡(6)]

연초부터 격화됐던 한·중 반상(盤上) 갈등이 해빙 무드로 진입했다. 새해 첫 세계 메이저 기전 결승전에서 촉발된 사상 초유의 판정 불복 사태로 반한(反韓) 감정까지 확산, 냉각됐던 양국 바둑계는 2주 만에 가까스로 갈등이 봉합된 모양새다. 하지만 후유증도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해당 기전을 주관한 한국기원 측의 매끄러운 대회 진행에 아쉬움이 남았지만 중국 측의 감정적인 대응 도 공감대를 형성하긴 어려웠다.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섰던 중국 바둑계 간판스타 커제(28) 9단의 생방송 대국 가운데 터져 나온 도발적인 거친 언행 역시 시청자들에겐 불편하기만 했다. 지난달 20~23일 벌어졌던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우승상금 3억 원) 결승전(3번기·3판2선승제) 도중 빚어진 커제 9단과 한국 변상일 9단의 맞대결 파행 결과에서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 뒷수습 과정에서 드러난 중국 바둑계 행보는 또 다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1일 바둑계에 따르면 한·중 양국 불협화음은 이번 ‘제29회 LG배 기왕전’ 판정 불복의 원인으로 지목된 '상대방의 따낸 돌(사석) 관리 규정'을 폐지하겠단 한국기원 발표에 중국위기(圍棋)협회의 호응이 나오면서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대국 도중) 사석 관리 규정 위반과 연관, 경고 누적에 따른 반칙패를 없애고 징계 수위 등 세부사항은 추후 논의하겠다”는 한국기원 측 공표에 “규정 개정 결정을 내린 한국기원에 감사한다”는 중국협회 측 메시지가 전해지면서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