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종합 2위 사수 시동··· 이번 주말 골든위크
본문
하얼빈 동계亞게임 오늘 개막
8년만에 개최·34개국 경쟁
한국, 빙상 등서 金 11개 목표
박지원·김민선·이채운 등 기대
8~9일에 금메달 집중 예상
8년만에 개최·34개국 경쟁
한국, 빙상 등서 金 11개 목표
박지원·김민선·이채운 등 기대
8~9일에 금메달 집중 예상

제9회 동계 아시안게임이 7일 오후 9시(한국시간) 중국 헤이롱장성 하얼빈의 국제컨벤션전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릴 개회식을 시작으로 8일 간의 열전에 돌입한다. 1986년 처음 시작된 동계 아시안게임은 최근 8년간 열리지 않았다. 2021년 예정했던 대회가 개최지 선정에 난항을 겪고, 코로나19 대유행이 겹쳐 취소됐기 때문이다. 이번 대회 개최지인 중국 하얼빈은 1996년 3회 대회 이후 29년 만에 동계 아시안게임을 치른다.
34개국 1275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이번 대회에 한국 선수단 총 222명(선수 148명, 경기 임원 52명, 본부 임원 22명)이 파견됐다. 직전 대회였던 2017년 삿포로 대회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8개, 동메달 16개로 종합 2위에 올랐던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도 빙상, 스키 종목 등에서 대거 메달을 획득해 종합 2위를 지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 걸린 금메달 수는 64개, 이 중 한국은 금메달 11~12개 정도를 바라보고 있다. 쇼트트랙에서 6개, 스피드스케이팅에서 2개, 알파인스키와 프리스타일 스키, 컬링에서 각각 1개씩 금메달을 예상하고 있다. 단연 손꼽히는 메달 박스 종목은 쇼트트랙이다. 역대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이 따낸 금메달(74개) 중 약 46%인 34개를 쇼트트랙에서 획득했다. 남녀 쇼트트랙 세계 1위 박지원(서울시청)과 김길리(성남시청)가 선봉에 서면서 장성우(스포츠토토), 최민정(성남시청) 등도 강력한 금메달 후보다. 박지원은 5일 “어떤 상황에서도 나만 믿고 자신 있게 대회에 도전하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스피드스케이팅에서는 여자 단거리 간판 김민선(의정부시청)과 남자 단거리 에이스 김준호(강원도청)가 선봉에 선다. 장거리 주축 이승훈(알펜시아), 정재원(의정부시청)도 다크호스로 꼽힌다. 피겨스케이팅에서는 차준환(고려대), 김채연(수리고)이 한국 남녀 간판다운 연기를 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키, 스노보드 등 설상 종목에서는 MZ세대의 유쾌한 도전이 펼쳐진다. 만 19세 이승훈(한국체대)은 프리스타일 스키 하프파이프 종목에서 금메달을 노린다. 지난해 2월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또 고교생 스노보더 이채운(수리고)도 스노보드 하프파이프에서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꼽힌다. 2023년 세계선수권에서 한국 선수 최초 우승했던 이채운은 처음 출전하는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금빛 비상을 꿈꾼다. 그밖에 남녀 컬링대표팀은 나란히 2007년 장춘 대회에 이어 18년 만에 동반 금메달에 도전한다.
다만 일본, 중국 등과 경쟁을 넘어야 금메달이 보인다. 쇼트트랙은 개최국 중국의 강력한 도전에 맞서야 한다. 한국 대표로 뛰다 중국으로 귀화한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은 “중국 국민에게 기쁨을 드리겠다”며 벼르고 나섰다. 피겨스케이팅과 스노보드 하프파이프는 일본 선수들과 경쟁을 이겨내야 금메달을 바라볼 수 있다.
한국 선수단의 메달 레이스는 개막 다음날인 8일부터 펼쳐진다. 이날 쇼트트랙 남녀 500m와 1500m, 혼성 2000m 계주 등 5개 종목 결승이 열린다. 또 이승훈이 프리스타일 스키 결승 경기를 치른다. 9일에는 쇼트트랙 남녀 1000m와 계주 등 4개 종목 결승과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에 나설 김민선의 레이스가 펼쳐진다.
13일에는 이채운이 나설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차준환과 김채연이 출전하는 피겨스케이팅 남녀 싱글 결승이 예정돼 있다. 이어 대회 폐막일인 14일에 단체 종목인 남녀 컬링 결승이 열린다.
하얼빈 김지한 기자





https://m.sports.naver.com/general/article/009/000543942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