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구] K리그 더비 구도 ‘지각변동’…안양 승격·인천 강등으로 새 판 열렸다
본문
지난해 11월 FC안양의 K리그2 우승 퍼레이드 행사 당시 안양종합운동장 풍경(왼쪽). 지난해 7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FC서울 캡틴 제시 린가드가 대전 하나시티즌전 승리 후 팬들 앞에서 피리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 제공
2025시즌 K리그는 FC안양의 창단 후 첫 K리그1 승격과 인천 유나이티드의 K리그2 강등으로 더비 구도가 재편됐다. 새로운 라이벌전의 탄생과 함께 기존 더비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면서 팬들의 기대감은 더욱 커진다.
이번 시즌 가장 주목받는 더비는 단연 FC서울과 FC안양의 첫 K리그1 맞대결이다. 2004년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FC서울이 탄생했고, 이후 안양은 시민구단으로 재창단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그러던 중 안양이 2024시즌 K리그2 우승으로 1부로 승격하면서 21년 만에 두 팀이 같은 리그에서 맞붙게 됐다.
여기에 기업구단과 시민구단의 철학적 대립 또한 더비의 배경이 되고 있다. FC서울은 안정적인 투자와 스타 플레이어 영입을 통해 리그 강호로 자리 잡았고, FC안양은 지역 기반의 팬층을 결집하며 독자적인 색깔을 유지해왔다.
첫 맞대결은 오는 2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다. FC안양 팬들은 ‘36더비’라는 더비 명칭을 붙이며 라이벌리를 불태우고 있다. FC안양의 구단주인 최대호 안양 시장은 “과거 서울은 안양을 버리고 36계 줄행랑을 쳤다. 도망간 서울을 우리가 잡아 와 박살 내야 한이 풀린다”는 강한 발언으로 더비의 열기를 고조시켰다.
인천 유나이티드와 부천FC 1995 구단 로고
K리그2에서는 인천 유나이티드와 부천FC 1995가 맞붙으면서 ‘032 더비’가 부활한다. 032 더비는 인천과 부천이 과거 같은 유선전화 지역 번호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래했다. 이는 2003년 인천 유나이티드 창단 이후로 인천과 당시 부천 SK(현 제주 유나이티드)의 대결을 지칭하던 명칭이었다. 이제 그 명칭은 인천과 부천FC 1995와의 대결로 다시 태어난다.
인천과 부천은 과거 하나의 행정구역이었고, 부천이라는 지명 자체가 부평과 인천의 합성어다. 두 도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생활권이 겹치는데, 이런 밀접한 관계가 더비에 특별한 의미를 더한다.
2003년 인천 유나이티드 창단 당시에는 기존 부천 SK를 응원하던 인천 거주 팬들의 이탈로 갈등이 시작됐다. 이후 부천 SK가 제주로 연고지를 이전하고, 시민구단인 부천FC 1995로 다시 태어나면서 새로운 라이벌 구도가 형성됐다.
두 팬덤 간의 경쟁은 일상적인 영역으로까지 확대됐는데, 특히 송내역에서는 양 팀 팬들이 경기 홍보 포스터 부착을 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더 나아가 2011년에는 인천 유나이티드가 부천 지역에서 유소년 축구교실을 운영하려다 부천 팬들의 강한 반발로 무산되는 사건도 있었다. 이후 인천이 부천 도심에 경기 홍보물을 게시하자 부천도 맞대응으로 7호선을 타고 부평구청역까지 진출해 홍보 현수막을 설치하는 등, 두 도시의 라이벌 의식은 축구장 밖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표출됐다.
하지만 이번 시즌 전까지 인천은 1부에 있었고, 부천은 2부에만 머물면서 앞서 두 팀의 대결은 컵대회를 통해서만 볼 수 있었다. 같은 리그에서 자주 보게 될 두 팀의 첫 맞대결은 4월 26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다.
수원 삼성의 홈구장인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홈팬들이 응원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 제공
지난 시즌 수원 삼성의 2부 강등에 이번 시즌 인천까지 K리그2로 내려오면서 ‘수인선 더비’도 다시 볼 수 있게 됐다. 수인선이라는 이름은 수원과 인천을 잇는 철도 노선에서 따온 것으로, 이 노선이 지나는 도시들의 축구 대결을 상징한다. 특히 이번 시즌에는 두 팀 모두 K리그2에서 만나게 되면서 승격 경쟁과 맞물려 더욱 치열한 대결이 예상된다.
수원 삼성은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며 1부 리그 복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FC서울에서 활약하던 일류첸코를 FA로 영입해 최전방을 강화했고, 서울 이랜드에서 지난 시즌 27경기 12골 7도움을 기록한 브루노 실바를 영입하며 측면 공격에 날카로움을 더했다. 중원에는 전북과 경남에서 검증된 이민혁을, 수비진에는 FC서울의 베테랑 센터백 권완규를 영입하며 전력의 완성도를 높였다.
인천 유나이티드는 K리그2 강등 후 팀 재정비에 나섰다. 무거운 연봉 부담이었던 베테랑들을 정리하고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전력 구상을 진행 중이다. 특히 U-22 출전 의무 규정을 고려해 유망주 발굴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2부 리그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을 영입하며 즉시 전력화에 주력하고 있다.
연고지 이전의 앙금, 행정구역의 변천사, 그리고 승격을 향한 야망이 뒤섞인 2025시즌 K리그의 더비들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명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박효재 기자 [email protected]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article/144/0001018502
댓글목록0